다양한 가능성.2 Appendix ... 수익율 변수를 상수로 ...
앞선글에서 "은퇴자금"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곡간에 쌀을 쌓아두었다 끼니마다 꺼내어 먹는 개념으로 은퇴자금을 바라보면 이 은퇴자금을 계획할때 은퇴자금총액기준으로 20년만 살것인지, 30년만 살것인지를 결정 해야하는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그래서 큰고민없이 "아,몰랑~머리아퍼... 나중에 고민할래..." 이렇게 되는듯 싶다.
[전문가 기고] 노후자금, 얼마나 준비해야 할까
김은혜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수석연구원노후에 평범한 생활을 유지하려면, 노후자금을 얼마나 준비해야 할까? 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고령자들은 매달 적정 노후생활비...
www.ajunews.com
필자가 생각하는 노후, 은퇴후 생활이라는 것은,
1. 건강하지 않다면 경제적 부담없이 의료기관을 찾을정도로 생활이 안정되어야 하고, 2. 은퇴전 현역시절의 노하우를 젊은이들과 공유하는 당당함이 있어야 하고 3. 이전의 경험이 노년기를 더 풍족하게 하는 행복한 일상이어야 한다. 이러한 일상을 지켜주고, 만들게하는 바탕에는 경제적 독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100-80=20, 이것은 산수다. 매월100만원씩 지출하려했는데 20만원을 덜 지출했다. 갑자기 건강이 않좋아져 의료비를 -40만원 지출했다. 일순간 지출계획에서 -20만원이 추가되었다. 이것이 은퇴후 노년기를 위축하게 만드는 가장큰 요인다. 젊은 시절은 보험가입도 잘되더니 시기를 놓쳤고, 나이들어 가입하려니 4~5배의 보험료를 지불해야 하거나, 가입거절이 되기도 한다. 모든것에 대하여 만만의 준비를 신처럼 했다면 몰라도, 이렇게 구멍난 상황들이 비일비재하다.
1유형>은퇴자금9억 = "-생활비-의료비-주거비-품위유지비-기타"+연금(국민연금+개인연금+퇴직연금+군인연금 등)
매달 마이너스가 되는 지출항목 " "을 묶어서 생활비로 통칭하는 모든 지출을 의미한다. 매달 플러스가 되는 수입항목은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연금에 있어서도 공적+사적연금이 모두 있거나 공적연금만 갖고있는 경우가 있을수 있다. 그외 월세수입, 이자수입 등 금융소득이 생기는등 다양한 경우가 있겠다. +요인은 덤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내가 산 주식이 올랐을때 처럼... (일시불이아닌 연금형태로 매월 지급받는경우)*
1유형= 대단히 편해보이는가? 위 기사에서 처럼 30년은 준비되어있으니까 충분할지도 모른다. 퇴직연금을 매월나누어서 쓰는경우는 생각보다 희박하다. 은퇴자외 상황들이 항상 퇴직금을 그냥 놔 두지 않은다. 이렇게 저렇게 쪼개지고 깨져서 어디로 갔는지 모르게 되는 경우도 많다. 은퇴후 창업전선에 뛰어들어 퇴직금을 날리는 이야기들도 우리주변엔 많다.
월세가 나오는 건물이 있고, 평생 일군 기업이 있고, 정기적인 수익이 발생한다면 그 보장은 충분하겠지만 그렇지 못한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은퇴후 나에게는 어떤 소득원이 있을것인가? 아주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이를 극복할수있는 유일한 방법은 "일정수준의 소득"이 반드시 발생하는 은퇴후 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2유형>은퇴자금9억= "-생활비-의료비-주거비-품위유지비-기타"+연금 "+ 일정수준의 소득원"
은퇴후 고민하지 말자. 2인기준 25평APT 보유중이라면, "5억" +"15~20년"을 기억하자. 100세 장수가 부담스럽지않다.
-END-
상담문의 텔레그램APP AGP vol.2 채팅채널 링크 >>